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8

5월 12일 탄생화... 라일락의 꽃말 5월 12일 탄생화는 라일락이며, 상징 의미는 '사랑의 싹'입니다. 라일락 꽃말의 의미는 '운명적인 만남에 가슴을 졸인 일이 벌써 여러 번 있겠군요. 그래서 또다시 운명적인 만남이 있다면 푹 빠지겠군요. 그것이 당신의 운명이니 어쩔 수 없군요'라고 합니다. 라일락은 4~5월 보라색 또는 연한 보라색 꽃이 피며, 향기가 진합니다. 라일락 라일락(Lilac)은 꿀풀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활엽 작은 키나무로 '수수꽃 다리 속'의 다른 종 식물을 부르는 말이기도 하다. 유럽 남동부 발칸반다고 원산지이고 온대 아시아에 걸친 지방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라일락의 이름의 뜻은 푸르스름한(bluish)을 의미하는 아라비어어를 영어로 번역한 것이며, 페르시아어 '닐락'을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이기도 하다. 라일락은 품종에.. 2021. 5. 16.
보검선인장 백년초 효능 백년초(Prickly pear)는 선인장과의 다육식물로서 정식 명칭은 자단선 선인장이다. '천년초'로 불리는 자단선 선인장과 함께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백년초의 원산지는 멕시코다. 목차 백년초의 특징 백년초는 4~5월에 작고 파란 열매가 열리며, 5~6월에 열매에서 노란 꽃이 핀다. 꽃이 지면 열매가 커지고 11~12월경에 자주색 열매가 되면 수확한다. 백년초의 줄기는 손바닥처럼 생겨서 손바닥 선인장이라고도 불린다. 제주도에서는 백년초라고 불리고 있으며 내건성이 매우 강하고 가뭄에도 좀처럼 죽는 일이 없다. 백년초는 제주도 지방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채선인장 속의 한 종류로 북제주군 한림읍 월령리 해안가를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다. 백년초는 멕시가 원산지로 멕시코에서 해류를 타고.. 2021. 5. 16.
5월 11일 탄생화... 사과, 사과꽃의 꽃말 5월 11일 탄생화는 사과꽃이며 의미는 '유혹'입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랑받기에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겠군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사과(Apple) 사과는 4~5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핀다. 사과는 장미과의 낙엽성 활엽 소교목으로 원산지는 서남아시아이다. 키는 3~15m까지 자라며, 일년생 가지는 자주빛이다.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어린잎, 새순, 꽂자루에는 회백색 털이 빽빽이 나있으며, 꽃봉오리는 붉은색이며 꽃은 4~5월에 피며 흰색 또는 연분홍색이다. 꽃잎은 5장이며 타원형이다. 열매인 사과는 8~10월에 녹색 또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사과의 모양은 구향, 원뿔형, 판구형 등이 있으며 지.. 2021. 5. 11.
[5월10일 탄생화] 꽃창포의 꽃말? 우아한 마음, 꽃창포의 효능 5월 10일의 탄생화는 꽃창포로 의미는 '우아한 마음'이다. 꽃말은 보라색은 기쁜 소식, 노란색은 슬픈 소식, 흰색은 사랑이다. '선천적으로 기품을 가지고 있으나 기품을 이끌어 내려는 노력이 부족하군요'는 의미도 있다고 합니다. 꽃창포는 백합목 붓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6~7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꽃이 핀다. 목차 꽃창포에 대하여 꽃창포(iris ensata)는 한국 전역 산야의 햇볕이 잘드는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60~120cm이며 꽃은 6~7월에 원줄기 또는 가주 끝에서 자주색 꽃이 핀다. 꽃잎은 3개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부분은 황색을 띠고 있다. 내화피도 3개이며 서로 어긋나게 붙어있다. 암술대는 곧게 서고 3개로 갈라져 있다. 씨방은 하위이고 열매는 갈색으로 2.5~3cm .. 2021. 5. 11.
5월 9일 탄생화... 겹벚꽃(왕벚꽃)의 꽃말 5월 9일의 탄생화는 겹벚꽃(왕벚꽃)입니다 겹벚꽃의 상징의미는 정숙, 단아함, 절세의 미인입니다 겹벚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이다. 높이는 10m이며 일본에서 산벚나무를 육종하여 만든 품종이라고 하며, 잎은 어긋나고 생김새는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듯한 타원형이다. 어린잎은 갈색빛이 나며 커가면서 녹색을 띤다. 겹벚꽃은 다른 벚나무들이 다지고나서야 피기 시작한다. 꽃은 5월에 흰색과 분홍색이 섞인 겹꽃으로 피며 열매는 맺지 못한다고 한다. 암술과 수술이 있지만 암술이 꽃으로 변하여 꽃잎이 되기 때문에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합니다. 꽃은 처음에는 옅은 색에서 점점 진분홍색으로 변하며 나무 전체가 분홍빛으로 물들어 장관을 이룬다. 겹벚나무의 번식은 접붙이기로 하며 꽃이 아름다워 관상.. 2021. 5. 9.
5월 8일 탄생화.. 수련의 꽃말은? 수련의 전설 5월 8일 어버이날의 탄생화는 수련입니다수련의 꽃말은 '청순한 마음, 신비, 결백, 차가움'입니다.순수함으로 가득 찬 당신이지만 유혹의 손길이 끊임없으므로,자신을 똑바로 보고 다른 사람의 유혹에 걸려들지 말아야 합니다.수련은 6~7월 낮에 하얀색 꽃이 피었다가 밤이 되면 오그라드는 수중식물이다.그래서 수련의 한자이름은 수련(睡蓮, 잘 수, 연꽃 련)이다.    목차  수련에 대하여● 수련 학명 : Nymphaea tetragona수련(water lilies)은 한반도 중부 이남의 늪이나 연못에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다.일본, 만주,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길고 단단한 잎자루와 꽃자루는 깨끗하고 얕은 물속의 진흙에 내린 뿌리줄기에 나온다.잎은 둥글고 중앙을 향해 갈라져 있으며, 물속에 잠기지 않.. 2021. 5. 8.
기관지에 좋은 약초... 잔대의 효능 성인병에 좋다고 알려진 약초 중에 잔대를 빼놓을 수가 없는데요. 예로부터 잔대는 인삼, 현삼, 단삼, 고삼과 함께 오삼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또한 야생 잔대는 산도라지, 산더덕만큼 귀하고 좋은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잔대는 백삼, 양파 내, 남사삼, 사엽, 사삼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에 특히 기관지에 좋은 약초 잔대의 효능을 정리했습니다. 목차 잔대 잔대는 국화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합니다. 사삼, 딱주, 제니, 잔다구로도 불립니다. 자세히 보면 어디선가 분명 집근처 등산로에서 봤던 익숙한 풀이고 익숙한 꽃일 겁니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50~100cm까지 자란다. 꺾으면 흰액이 나오며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4~5개가 돌려나기 하며 줄기와.. 2021. 5. 8.
5월 6일 탄생화... 비단향나무꽃(Stock)의 꽃말 5월 6일 탄생화는 스톡(stock) 또는 비단향나무꽃 또는 비단향꽃무라고 불린다. 비단향나무꽃이 상징하는 의미는 영원한 아름다움이라고 하네요 비단향꽃무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Mattyiola incana이며,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과 남부 유럽이며 높이는 30~60cm이다. 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잎은 어긋나고 잿빛을 띤 녹색이며 바소꼴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흰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십자모양이며,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 꽃차례에 달린다. 홑꽃과 겹꽃이 있고 꽃은 빨간색, 분홍색, 자주색, 파란색, 연노랑색, 흰색 등 다양하다. 비단향꽃무에 대한 로마 신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아름다운 자매가 있었는데, 마음씨 착한 형제와 사귀어 두 쌍의 연인이 되었다고 .. 2021. 5. 6.
5월 5일 탄생화... 은방울꽃의 꽃말은? 어린이날 역사 5월 5일은 어린이날입니다.5월 5일 어린이날의 탄생화는 은방울꽃입니다은방울꽃의 꽃말은 '섬세함, 순결, 다시 찾은 행복'입니다.유럽에서는 5월에 은방울꽃으로 만든 꽃다발을 받으면 행운이 온다고 믿었다고 하며, 가장 가까운 벗에게 은방울꽃을 선물하였다고 합니다. 은방울꽃의 향은 은은한 사과 혹은 레몬향이 강합니다.이에 은방울꽃 및 5월 5일 어린이날의 역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은방울꽃(lily of the vally)에 대하여제가 은방울꽃은 처음 본 것은충북 대청댐 근처에 있는 청남대를 방문했을 때입니다.풀숲에 종모양의 하얀색 꽃이 주렁주렁 피어있는데 어찌나 작으면서도 앙징맞고 사랑스럽고 이쁜지 기억에서 잊히지 않았습니다.청남대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2003년 노무현.. 2021. 5. 5.
[5월4일 탄생화] 딸기의 꽃말, 딸기의 종류(딸기, 산딸기, 뱀딸기) 5월 4일 탄생화인 딸기의 꽃말은 '존중과 애정'이다.당신은 사랑에 폭 빠지기 쉬운 타입입니다.절제와 인새심을 갖고 일을 처리할 때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을 것입니다.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여신 프리카에게 바치던 과실.기독교 시대가 된 뒤로는 성모 마리아에 바쳤다고 합니다.만약 천국의 문에 방문하는 사람이 입가에 딸기즙을 묻힌 채 간다면 딸기를 훔친 것으로 간주되어 지옥으로 내던져진다고 한다고..천국에 초대받은 어린이들이 지상으로 돌아올 때는 딸기 모양으로 변한다고 한다.    목차  딸기(Strawberry)  ● 딸기 학명 : Fragaria ananassa딸기(Strawberry)는 장미과 딸기속에 속하는 과채류이다. 딸기의 원산지는 아메리카이다.딸기의 종류에는 산딸기, 뱀딸기, 야생딸기 등이 있다... 2021. 5. 4.
반응형